행운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디플레이션이 뭐야?

카로그 2023. 2. 24. 11:59
반응형

 

인플레이션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물가는 개별 상품의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를 의미한다.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 지속기간 및 상승폭, 제품의 질적 향상  여부, 정부의 가격 통제에 따른 암시장 가격 상승 여부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통상 연 4.5% 정도의 물가 상승률이 관측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디플레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발생원인은 생산물의 과잉공급, 자산거품의 붕괴, 과도한 통화 긴축정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하다.

또한 통화의 양이 재화 및 서비스의 양보다 적기 대문에 화폐가치는 상승하고 반대로 물가는 하락하는 것이
디플레이션이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통화의 가치는 상승하고 실물자산의 가치는 하락함에 따라 인플레션과 반대 방향으로 소득 및 부의 비자발적 재분배가 발생한다.

이외에도 실질금리 상승, 실질 임금 상승에 따른 고용 및 생산 감소, 소비지출 연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등
디플레이션 악순환 가능성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스태그 플레이션


실업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증가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 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내이션(stagnation-경기침체) 과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상승)을 합성한 용어이다.

즉 국민소득의 증가세가 축소되는 경기 침체와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성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산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상승하므로 국민의 경제적 고통을 크게 늘어난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문제되는 이유는 경제 불황시기에 위축 되는 소비 심리를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불황을 만드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정부의 제도적 정책 역시도 함께 뒤븟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